본문 바로가기
코딩 컨벤션

코드 표기법 정리

by 행복한 기린님 2022. 8. 24.

 

코드는 기능만 돌아가면 된다는 생각을 하면서 코딩을 한지 2~3년의 시간이 흘렀다.

 

이직을 하면서 또는 인수인계를 준비하면서 내 코드를 남이 쉽게 알아 볼 수 있게 정해져 있는 규칙.

코딩 컨벤션을 지키는게 뒷사람을 위한 엄청난 배려구나 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면서

조금이라도 컨벤션에 맞는 코드를 짤 수 있게 앞으로 공부하고 지켜야겠다 다짐합니다.

 

우선은 코드 표기법부터 정리를 한다.

 

카멜 표기법

카멜(camel)은 낙타라는 뜻으로 표기법이 낙타의 혹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은 명칭이다다. 카멜 표기법을 채택한 대표적인 언어는 Java이다.

 

Camel

 

 

규칙

- 각 단어의 첫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붙여쓰되, 맨처음 문자는 소문자로 표기함.

- 띄어쓰기 대신 대문자로 단어를 구분하는 표기법.

 

int topTier;

addModel(int topTier) {
   ...
}

 

파스칼 표기법

카멜 표기법과 유사한 표기법으로 Java와 Python 에서 사용하는 표기법이다.

 

 

규칙

- 첫 단어를 대문자로 표기함.

 

class GetScore(){
    ....
}

 

def MakeTier() {
    ...
}

 

헝가리언 표기법

마이크로소프트의 개발자 중 헝가리 프로그래머가 사용하던 표기법이다. 변수의 자료형이 바뀌게되면 변수명도 고쳐야하기 때문에 현재는 지양하는 표기법이다. 

 

규칙

- 접두어에 자료형을 표기함.

 

str strValue = "";
int iCount = 0;

 

스네이크 표기법

뱀의 형태와 유사한 표기법이다. C, C++, Python 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기법이다. C언어는 클래스도 스네이크 표기법을 쓰지만, Python은 파스칼을 쓴다는 점이 구분된다.

 

 

규칙

-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사용하고 띄어쓰기를 언더바('_')로 대체함.

 

top_speed = 10
game_start_time = time.time()

 

 

 

 

 

댓글